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기공사업
- 실내건축공사업
- 재무관리상태보고서
- 조경공사업
- 건축공사업
- 종합건설
- 기계설비공사업
- 토목공사업
- 기업진단
- 전문건설협회
- 종합건설업
- 기타공사업
- 상수도공사업
- 도장공사업
- 실태조사
- 인테리어공사업
- 방수공사업
- 해체공사업
- 인테리어
- 전문건설업
- 우수조달
- 전문건설
- 기업진단보고서
- 키스콘
- 대한건설협회
- 건설공제조합
- 단종면허
- 통신공사업
- 비계공사업
- 전문건설공제조합
- Today
- Total
목록2023/12 (10)
평정 PYEONGJUNG

NEP (New Excellent Product)로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이에 준하는 대체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인증하고 제품의 초기 판로를 지원 및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를 말합니다. 국가기술표준원 인증산업진흥과를 주관으로 하여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인증심사팀에서 평가되며, 인증유효기관은 3년으로 1회의 심사로 3년으로 연장이 가능한 인증제도입니다. ▧ 신제품(NEP) 인증 표시 신제품인증의 대상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이에 준하는 대체기술로서, 기존의 기술을 혁신적으로 개량, 개선한 우수제품 중 성능과 품질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 신제품 인증기준 1. 신청제품의 핵심기술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이에 준하는 대체기술로서 기존의 기술을혁신적으로 개선, 개량한 신..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전문건설업을 등록을 한 사업자가 건설공사의 각 공종별 전문공사를 직접 또는 하도급을 받아 해당 전문분야의 시공 기술을 가지고 공사를 수행하는 업을 말하며,일반건설업에서 수립한 종합적인 관리계획을 토대로 시공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생산추제도 될 수 있다. ▥ 전문건설업의 주요 기능 및 역할 1. 건설공사를 전문분야별로 시공함으로써 위험부담을 분산하고 공사비를 절감.2. 전문분야의 계속적인 반복시공으로 시공기술의 축적과 기능향상.3. 전문적 시공을 통한 장비 가설재의 효용성 증대. ▨ 상하수도설비공사업 영업범위건설업종업무분야건설공사의 예시상하수도설비공사업1.상수도설비공사 : 상수도, 농, 공업용수도 등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거나 상수도관, 농, 공업용 수도관 등을 부설하는 ..

구조물해제비계공사업은 구조물해체공사, 일반비계공사, 빔운반거상공사, 특수중량물설치공사, 연돌공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물해체공사와 비계공사는 과거 비계목 설치에 의한 공사수행부터 현대의 첨단건설장비발달에도 반드시 두가지 공종이 동반 수행되고 있는 업종이며, 각 공종마다 특화된 전문기술과 장비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사를 시공하는 전문업종이다. 1. 해체공사분야 구조물 및 산업시설물은 노화 또는 기능상의 문제나 사회적·경제적 요구에 의해 해체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해체 방법은 구조물에 따라 공법이 다를 수 있고, 해체 후 부재의 재사용 목적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해체공법으로는 기계적 충격에 의한 공법, 유압잭 등 기계·장비에 의한 공법, 화약에 의한 폭파공법, 팽창압에 의한 파괴공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