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정 PYEONGJUNG

NEP 인증과 기업의 성장과 안정 본문

기업 가이드

NEP 인증과 기업의 성장과 안정

평정 컨설팅 2023. 8. 31. 17:05

 

 

 

NEP 인증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평가하는

기업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양산화된

신제품을 인증하는  "신상품"을 말합니다. 

 

 

 

NEP 인증은 다시 강조하자면

새롭게 나오는 제품입니다.

새로운 신기술에 관련한

NET(New Excellent Technology)가 

따로 존재하고 있으니 착오 없기 바랍니다. 

 

NEP의 인증대상의 범위는

너무나 광대하기 때문에 

사회경제에 걸쳐서 모든 부분에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굳이 예를 들자면 새로운

(의류, 건축, 위생, 뷰티, 교육, 반도체, 국방, 자동차, 자연재해)

새로운 전자기기( 스마트와 디지털의 융합)

유비쿼터스 융합 등등이 있습니다. 

 

 

 

NEP인증은 혁신적인 신기술로 탄생한 제품이 

사용자에게 판매되기 시작한 지 3년이 

경과하지 않은 신 개발제품이어야 합니다. 

 

NEP 인증대상 제외품목
1. 이미 국내에서 일반화된 기술을 적용한 제품 
2. 제품을 구성하는 핵심부품 일체가 수입품이 경우
3. 식품, 의약품 및 전문의료기기
4. 과학적으로 입증이 어렵거나 이론적으로만 적용한 제품
5. 그 밖에 선량한 풍속에 반하거나 공공의 질서를 해할 우려가 있는 제품

 

 

 

 

NEP 인증을 받은 후에 여러 가지 지원이 

기업의 매출과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정부의 지원이라고 하더라도 

기대에 못 미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의무구매 등등)

 

기업의 창업에 후에는 3년이라는 스타트개념의 

기간은 어느 기업에게나 똑같이 존재합니다. 

결론은 창업과 동시에 3년 동안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인증, 특례)은 모두 한다"

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창업에서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 그리고

대기업까지의 길은 멀고도 멀고도 험하고 험합니다. 

그중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존재는

원활한 기업자금의 흐름입니다.  

그 원활함에 가장 유리한 방향은 

정부의 지원입니다.

 모든 기업의 임직원분들이 강원도 감자밭에 

자루(?)를 묻어 놓은 건 아니잖아요

 

 

 

NEP 인증은 다른 인증들보다 난이도가 높습니다. 

일 년 중 상시로 기회가 있는 인증이 아닙니다. 

 

일 년 중에 3회의 신청기간이 있으며 

준비해야 할 서류나 인증에 필요한 준비가 

다른 인증에 비해서 굉장히 어려운 인증입니다. 

기업의 입장에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작전계획(심사과정과 기업스케줄)을 구상해야 합니다. 

처음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은 

아래의 표를 보고 우리 기업이 어느 분야에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NEP인증 심사신청분야》

기술분야 인증평가위원회
전기전기전자  전자제품, 전자부품, 산업전자, 전기기기
정보통신  통신 및 시스템 H/W, 시스템 S/W, 정보기술 S/W, 응용S/W
기계, 소재  수송기계, 자동화기계, 일반기계, 정밀기계, 기계요소부품, 금속재료 , 세라믹재료
화학, 생명 의약, 생명, 정밀화학, 고분자섬유
원자력 원자력, 방사선
건설환경 대기폐기물, 수질토양, 건설구조, 건설재료

 

NEP인증이 처음이시라면,

인증에 실패하셨다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자가진단 및 스스로의 치료는 

NEP인증보다 더욱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기업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소상공인 범위해설  (0) 2023.09.17
국가경제 공헌기여도 순위  (1) 2023.09.14
녹색인증의 미래  (0) 2023.08.31
기업부설연구소는 스타트업의 기본  (0) 2023.08.30
ESG 경영이란?  (0)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