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자금 흐름

기업신용평가의 모형과 활용목적

평정 컨설팅 2023. 10. 24. 14:49

 
 

 

 
개인의 신용평가는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등급화하는 과정이라면,

 
기업신용평가는 개인이 아닌, 기업에 대한 신용도를 기업의
여러 가지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도는 기업에 자금의 흐름에 따라서 금융업체와 기업의 주식, 채권등과 같은 다수의
이해관계자들과 복잡하게 엮어있기 때문에 국가경제의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기업의 신용도를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확인하고자 하는 일들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신용평가시에는 기업의 재무제표에 대한 재무정보 외에도 다양한 비재무정보도 활용됩니다. 
비재무정보에는 기업현황, 경영자의 능력, 업력, 처분가능 자산, 대기업 계열 여부, 특허,
연구개발인력현황과 기술력 보유, 회사규모등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업신용평가는 일반 목적의 평가와 특정 목적의 평가로  구분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기업의 신용평가를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은 타 기업체의 회사채나 어음등의
기업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의 신용도를 평가하여 거래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신용도 평가는 다수의 기업을 함께 평가하게 되므로 신용평가모형이 
주로 사용하게 되는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 일반목적의 기업 신용평가회사를 통해서
기업신용도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국내의 경우 NICE평가정보, 한국평가데이터, SCI평가정보원 등이 있습니다. 
 


 

 

기업 신용평가 모형은 일반적으로 아래 표와 같이
재무계량모형, 비재무계량모형, 비재무비계량형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평가에 많은 요소들이 들어가는 이유는 기업신용평가의 결과로 인하여
기업은 물론 금융시장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기업신용도 평가가 나쁘게 나오기라도 한다면 해당 기업의 금융거래나 주가등에  크나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최종 기업신용평가의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기업신용도 평가모형의 방법론

재무계량모형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등에서 확인된 재무정보를 활용하는 계산모형
비재무계량모형 재무정보 외에 별도의 내용이나 비재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계량적인 통계 모형 
비재무비계량모형 평가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판단으로 시장위험, 기술위험, 산업위험등에 척도를 평가하는 방식

 

 

 

 
기업신용등급은 평가보형을 통해 채무불이행 위험의 정도를 서열화하고 일반적으로 10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이를
다시 AAA(최상의 등급)에서 D(최하위 등급)까지 기호화하여 +, - 표기로 최대 22개 등급으로 세분화됩니다.
 

등급 부도율(21년기준) 등급의 의미
AAA 0.00% 최상의 상거래 신용도를 보유
AA 0.00% 우량한 상거래 신용도를 보유, 환경변화 대처능력이 충분함
A 0.00% 양호한 상거래 신용도를 보유, 환경변화 대처능력이 상담함
BBB 0.41% 양호한 상거래 신용도가 인정, 환경변화 대처능력이 다소 제한적
BB 0.59% 단기적 상거래 신용도가 인정, 환경변화 대처능력이 제한적(다소 불안)
B 1.14% 단기적 상거래 신용도가 인정, 환경변화 대처능력은 미흡(불안)
CCC 10.26% 현시점에서 신용위험 발생가능성이 내포
CC 50.00% 현시점에서 신용위험 발생가능성이 높은 수준
C - 현시점에서 신용위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고, 회복가능성도 매우 낮음

기업 신용등급별 부도율 및 의미(NICE평가정보 신용등급체계공시)
 
 
금융업체가 보유한 기업 여신에 대한정보를 토대로 기업의 채권에 대해 기업의 신용등급별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을 차등화하기도 하며 금융회사의 전사적인 신용위험도 모니터링과 신용측정과 
경영진 보고자료 등에도 활용되며 이외에도 공공기관의 입찰 심사나 거래처 관리에 필요한 일반 기업에서도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등 기업신용등급의 활용처는 매우 다양합니다. 
 


 

 
2020년도에 개정된 신용정보법 시행으로 신용평가 산업이 재편되었고  CB사가 개인, 개인사업자,
기업으로 구분되면서 기업CB사는 기업신용조회업무, 기업신용등급제공업무, 기술신용평가업,
등으로 세부업무에 따른 허가단위 구분이 이루었졌습니다. 
 

 

세부 업무 분야 세부업무 기업사
기업신용조회업무(7개사) NICE D&B, 이크레더블, 코리아크레딧뷰로, 한국평가데이터, NICE평가정보,
SCI평가정보, 더존비즈온
기업신용등급제공업무(6개사) NICE D&B , 이크레더블, 코리아크레딧뷰로, 한국평가데이터, NICE평가정보,
SCI평가정보
기술신용평가업무(6개사) NICE D&B, 이크레더불, 한국평가데이터, NICE평가정보, 한국기술신용평가

 
 

기업신용평가는 기업의 컨디션이나 기업의 로드맵에 따라서,
국내외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평가는 전문가와 함께 한다면  좀 더 기업에게 좋은 상황을 만들어 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