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가이드

ESG 경영이란?

평정 컨설팅 2023. 8. 23. 10:39

 

 

 

ESG경영 확산은 지속가능 경영을 촉진하는 

외부자금조달 환경의 중요한 변화이며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이후, 유럽중심의 

기업 지속가능경영 규제 도입의 방향이

전 세계적 트랜드를 선도하고 있다. 

 

 

 

 

ESG경영은 재무제표의 정보만으로는

투자위험을 측정이 어려워

활용가능한 비재무적 정보를

기업의 위험측정 모델에 통합은 물론이며

기업에서는 양질의 자본이 융통됨으로 인해 

주주가치를 더욱더 단단하게  하고

부정적인 이슈의 기업을 배제하는 소극적 

지속가능투자에서 보다 나은

ESG경영을 통하여 성과를 추구하는

적극적 지속가능투자로 전환하고 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리 방안과

ESG경영에 관련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외로부터의

ESG경영 이슈가 급격히 부상함에 따라

기업의 혼란이 가중되었고 

향후 표준화된 ESG경영을 바탕으로 한국도 

유럽과 미국처럼 ESG경영 의무공시에 대한 

제도가 도입은 국내에도 자리잡게 될것입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정책자금, 담보대출 .

벤처캐피탈의 직접투자가

주요 외부 자금조달원으로

ESG경영 성과와 연계점은 적으나 

대기업에 비해 ESG경영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대비가 전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인센티브 요인보다는 

손실리스크가 보다

실제적이고 직접전인 상황입니다

 

 

1.인센티브요인

ESG경영 성과 달성시 공급경쟁에서

선점가능과 브랜드이미지 상승및 매출증대,

신용도 평가 활용을 통하여 기존 중소기업

여신심사에 적용할경우

대출의 가능성이 높아짐

 

2. 손실리스크 요인 

ESG경영 성과가 낮을경우 공급망에서

배제될 위험과ESG경영관련 공시 의무

규제에 직면하여 수출비용증가또는

  대기업의 거래단절의 위험이 존재 

 

 

국내에서 ESG경영 관련 논의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통계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점검할수 없는 한계가 존재.

현재 동반성장위원회에서 대기업이 협력사를

지원하는프로그램을 운영중인데,

예를 들어 지속가능경영 추구를 위한

대기업의 인력과 노하우를 공유하여 

중소기업의 부족한인력및 조직을

보완하는 경우 동반성자지수 평가 시 가점부여